OCKACE Spotlight: Graphic Artist: Onjena Yo

Celebrating Korean Diaspora & Korean Multi-Ethnic Identity 

한국교민과 한국 혼혈인의 정체성을 기리다

Brooklyn, NY based Korean-American graphic artist, Onjena Yo created a series called Multinational Patriot Flag project where she taps into what it means to be a “Patriot” by merging the U.S. flag with the flags of other nations. Yo is now exploring Korean identity through a series of designs inspired by the Korean diaspora. Through Yo’s work, we look at Korean identity through multiple lenses and how she expands the definition of what it means to be Korean with her works such as “Heugin 흑인” which is the Korean word for “Black” and “#KSeoul.”  

뉴욕 브루클린에 기반을 두고있는 한인계 미국인 그래픽 아티스트 “온제나 요”가 다른 나라의 국기와 미국 국기를 병합하여 “애국”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초점을 맞춘 시리즈 “다국적 애국 국기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현재 온제나 요는 한국 교민에게서 영감을 얻은 본 디자인의 시리즈를 통해 한국의 정체성을 탐구한다.  온제나 요의 작품을 통해, 우리는 다양한 시각으로 한민족의 정체성을 파헤치고, 그녀의 작품인 흑인, #KSeoul 과 같은 작품들을 통해서  “한국인이 된다는 것의 의미” 의 정의를 어떻게 그녀가 확장하는지 볼 것이다.

When we talk about Korean diaspora and Korean multi-ethnic identity, here are some important figures to keep in mind to understand why this is an important topic:

  • There is an estimated 7.3 million Koreans living outside of Korea in over 175 countries. 
  • In the United States alone, there are now over 2 million Koreans.
  • From 2000 – 2010, the overall Korean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grew 32%
  • Within this same period, the multiracial Korean population in the US grew 87%
  • Looking at California, in 2000 7% of all Koreans were multiracial Koreans, whereas in in 2010 that number increased to nearly 11%

한국인 교포와 한국 다민족 정체성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이 주제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참고해야 될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 730만 한인들이 175개국에 살고 있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 미국에서는 현재 200만명 이상의 한국인들이 있다.
  • 2000년 부터 2010년 사이, 미국 내 전체 한국 인구수는 32% 증가하였다.
  • 같은 기간, 미국 내 한국계 혼혈인들은87% 증가하였다.
  • 2000년도 캘리포니아에서는, 전체 한국인의 7%가 한국계 혼혈인이었으며, 2010년에는 그 숫자가 11% 가까이 증가하였다.
onjenayo_profile
Graphic Artist Onjena Yo expanding the definition of what it means to be Korean

We asked Onjena Yo about the inspiration for her Multinational Patriot Flag project and here’s what she had to say:

“The origins of the Multinational Patriot Flag series began many years ago, as I observed my father and mother with a conflicted sense of “patriotism.” I worked through attempts at honoring all facets of my heritage, but as an adult, I was struck by how the U.S. flag was predominately used by people with a very narrow view of what it was to be an “American.” Humility was a virtue, so how could I honor a country that did not honor me and be “patriotic”? It was this conflict that inspired my designs.

In the U.S., the concept of identity and ethnicity is fluid. Hyphenated Americans can often be left out of the mainstream conversation. Too often, the cry for a “post-racial” America is used to erase what makes us “American.” I felt it was important to honor my Korean roots by incorporating my heritage into one of the strongest symbols of America, the flag. As a proud Korean-American, I was able to celebrate my own multi-ethnic roots, but more importantly, I’ve helped others to do the same, quietly or loudly.”

우리는 온제나 요에게 다국적 애국 국기 프로젝트에 대한 영감에 관하여 질문을 하였고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다국적 애국 국기” 시리즈의 근원은 오래전에 제가 애국심에 관하여 상반된 느낌을 가지고 저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관찰함으로써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저의 한국적인 면들을 존중하려 노력해 왔지만, 성인이 되면서 “미국인이 된다”라는 것에 대해 매우 좁은 시선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미국 국기를 지배적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면서 혼란이 왔습니다. 겸손은 미덕이니만큼, 저를 존중하지 않는 나라를 어떻게 제가 존중할 있고 애국자가 있겠습니까? 이런 충돌이 저의 예술적인 영감이 되었습니다.

미국에서 정체성과 민족성의 개념은 유동적입니다. 외국계 미국인은 종종 주류 대화에서 제외될 있습니다. 유감스럽게도 인종을 벗어난 미국을 위한 외침들이 무엇이 우리를 “미국인”으로 만드는지에 대한 것들을 지우는데 사용되어질 때가 많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한국의 요소들을 미국의 가장 강한 상징중의 하나인 국기에 포함함으로써 저의  한국적인 뿌리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저는 자랑스러운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저의 다민족 근원을 찬미할 있었으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른사람들도 어떤 형태로든 함께 있도록 도왔다는 것입니다.”

Yo goes on to explain her reason to go beyond the Korean-American flag for her Korean Diaspora project:

“Encouraged by the positive feedback, we expanded our designs beyond the Korean-American flag to include the broader Korean diaspora such as Korean/German, Korean/Irish, Korean/Mexican, etc. As I was researching, I was very surprised about the Top 10 largest Korean populations… Uzbekistan and Kazakhstan?

I have much to learn and am grateful for organizations such as OCKACE to guide and encourage me. For example, although I’ve used the pattern in my designs for years, I just learned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Saekdong! (Traditional Korean striped pattern)”

요 씨는 한국계 교민 프로젝트에서 한국/미국 국기 이외에도 다른 국기들을 작업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긍정적인 반응에 힘입어 한국/미국 국기 이외에도 디자인을 확장하여 한국/독일, 한국/아일랜드, 한국/멕시코 같은 넓은 한국계 교민들을 포함하였습니다.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한국인 인구수가 가장 많이 있는 10개국의 나라들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놀랐습니다.

저는 아직 배울것이 많으며 저를 이끌어 주고 격려해 주는  OCKACE 같은 조직이 있다는 것에 감사합니다. 비록 한국과 관련된 패턴들을 오랬동안 저의 디자인에서 사용하여 왔지만, 최근에서야 색동의 문화적인 중요성을 알았습니다.”

Onjena is an aspiring children’s book writer and the co-founder of Carbon-Fibre Media, a multi-media entertainment company that produces comic books, graphic novels and sculptures and toys.

온제나 요는 동화책 작가이고 만화, 장난감, 조각품을 생산하는carbon fiber media라는 연예기획사의 공동 창립자입니다.

Onjena's work_edited-1
Through Onjena’s RedBubble store, customers can choose any of her designs for print on various style t-shirt and other items. 온제나 요의 디자인이 프린트 된 다양한 스타일의 티셔츠, 커피머그, 토트 백 그리고 스티커들이 RedBubble.com 에 있는 그녀의 스토어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Onjena has made her designs available for print on various styles of t-shirts, coffee mugs, tote bags and stickers through her store on RedBubble.com, which is a platform for independent artists to put their original works on various merchandise. Onjena’s works can be directly purchased on her RedBubble shop found here.  

온제나 요의 디자인이 프린트 된 다양한 스타일의 티셔츠, 커피머그, 토트 백 그리고 스티커들이 RedBubble.com 에 있는 그녀의 스토어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RedBubble.com 은 독립 아티스트들이 그들의 오리지널 작품을 다양한 상품에 접목시켜 판매하는 곳입니다. 온제나 요의 작품을 RedBubble에 있는 그녀의 스토어에서 바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here.

 

Onjena can be found on: Twitter @onjena  or her websitehttp://www.carbon-fibre.me/patriot/

Items can be purchased on her storefront at: RedBubble.com

Posted on: May 26, 2016